차세대 항공기
[차세대 항공기] 우리 기술도 참여하는 친환경 A350 · B787
A350 항공기는 에어버스사가 초대형기인 A380과 함께 야심차게 개발한 차세대 항공기로 보잉의 B787 드림라이너와 경쟁하기 위해 개발된 중형 장거리 항공기입니다. 이 기종 개발을 위해 에어버스는 기존 A330 항공기를 운용하고 있는 항공사들을 찾아다니면서 신규 항공기에 대한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을 수렴하고, 이를 근거로 연료 효율적이며 환경 친화적인 A350 항공기 개발을 결정했다고 합니다.
복합 소재 사용 ‘연료 절약형’
에어버스가 오는 2013년 운항을 목표로 개발하고 있는 270~350석급 A350 차세대 항공기는 기체의 60퍼센트 이상을 첨단 탄소강화 복합 소재와 최신 금속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경량화와 함께 성능을 대폭 향상시켜 기존 항공기 대비 연료비 25퍼센트, 운항비를 20퍼센트 이상 절감할 수 있는‘연료 절약형 모델’입니다.
에어버스는 이를 위해 공기역학적으로 A330 비행기의 주날개 및 꼬리날개를 개선해 성능을 향상하고, 알루미늄-리튬 합금의 신소재 및 복합 소재를 사용해 기체의 무게를 A330 대비 1.5톤 가량 낮추었습니다.
A350은 B787과 많은 유사점을 갖고 있습니다. 둘 다 고효율 친환경 개념의 중형 기종으로 개발됐으며, 엔진도 고출력, 고효율 엔진을 사용하게 되지요. 항속 거리도 두 기종 모두 1만5천 킬로미터가 넘어 태평양 횡단이 가능합니다.
갈수록 사용 범위가 넓어지고 있는 탄소 강화 복합 소재는 기체 무게를 줄여 연료 효율을 높이는 것 외에도 기내 환경을 보다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들 첨단 항공기에는 국내 항공기 제작 기술이 참여하고 있어 한층 의의가 큽니다. 대한항공은 B787의 동체와 날개의 중요한 부분에 대한 개발 책임을 맡아 설계에서부터 제작, 납품 등 전 과정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B787 항공기 동체 및 날개 제작에 적용되는 복합 신소재의 가공은 매우 어려운 과정으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지요.
A350 항공기의 경우는 화물용 도어 개발에 대한항공이 참여합니다. 화물용 도어는 전후방 모두 3개가 있는데, 이 역시 첨단 복합 소재로 운항 중 팽창과 수축을 거듭하는 동체에 장착되기 때문에 고도의 정밀성이 요구됩니다. 이와 함께 도어 개폐를 위한 구동 장치 설계 기술 능력도 필요한데, 국내 기술로 항공기 화물용 도어 설계·제작사업을 상용화한 첫 사례이자 국내 항공 산업을 한 단계 발전시킨 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출처] 대한항공 스카이뉴스
차세대 항공기로 새롭게 개발 중이라는 A350기와 B787기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A350 항공기는 에어버스사가 초대형기인 A380과 함께 야심차게 개발한 차세대 항공기로 보잉의 B787 드림라이너와 경쟁하기 위해 개발된 중형 장거리 항공기입니다. 이 기종 개발을 위해 에어버스는 기존 A330 항공기를 운용하고 있는 항공사들을 찾아다니면서 신규 항공기에 대한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을 수렴하고, 이를 근거로 연료 효율적이며 환경 친화적인 A350 항공기 개발을 결정했다고 합니다.
복합 소재 사용 ‘연료 절약형’
에어버스가 오는 2013년 운항을 목표로 개발하고 있는 270~350석급 A350 차세대 항공기는 기체의 60퍼센트 이상을 첨단 탄소강화 복합 소재와 최신 금속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경량화와 함께 성능을 대폭 향상시켜 기존 항공기 대비 연료비 25퍼센트, 운항비를 20퍼센트 이상 절감할 수 있는‘연료 절약형 모델’입니다.
에어버스는 이를 위해 공기역학적으로 A330 비행기의 주날개 및 꼬리날개를 개선해 성능을 향상하고, 알루미늄-리튬 합금의 신소재 및 복합 소재를 사용해 기체의 무게를 A330 대비 1.5톤 가량 낮추었습니다.
A350은 B787과 많은 유사점을 갖고 있습니다. 둘 다 고효율 친환경 개념의 중형 기종으로 개발됐으며, 엔진도 고출력, 고효율 엔진을 사용하게 되지요. 항속 거리도 두 기종 모두 1만5천 킬로미터가 넘어 태평양 횡단이 가능합니다.
갈수록 사용 범위가 넓어지고 있는 탄소 강화 복합 소재는 기체 무게를 줄여 연료 효율을 높이는 것 외에도 기내 환경을 보다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동체, 날개, 도어 등 설계·제작 참여
기존의 항공기 재료인 알루미늄은 부식에 민감하기 때문에 항공기 내 습도를 지상에 비해 현저히 낮추어야 하지만 최첨단 탄소 복합 소재를 사용하면 부식에 대한 내성이 훨씬 강하므로 항공기 내 습도를 높일 수 있어서 건조함으로 인한 승객의 불편이 덜해진다고 합니다. 또한 기내 압력도 보다 낮은 고도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승객들의 장시간 비행에서 오는 피로감도 훨씬 줄일 수 있지요.
이들 첨단 항공기에는 국내 항공기 제작 기술이 참여하고 있어 한층 의의가 큽니다. 대한항공은 B787의 동체와 날개의 중요한 부분에 대한 개발 책임을 맡아 설계에서부터 제작, 납품 등 전 과정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B787 항공기 동체 및 날개 제작에 적용되는 복합 신소재의 가공은 매우 어려운 과정으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지요.
A350 항공기의 경우는 화물용 도어 개발에 대한항공이 참여합니다. 화물용 도어는 전후방 모두 3개가 있는데, 이 역시 첨단 복합 소재로 운항 중 팽창과 수축을 거듭하는 동체에 장착되기 때문에 고도의 정밀성이 요구됩니다. 이와 함께 도어 개폐를 위한 구동 장치 설계 기술 능력도 필요한데, 국내 기술로 항공기 화물용 도어 설계·제작사업을 상용화한 첫 사례이자 국내 항공 산업을 한 단계 발전시킨 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출처] 대한항공 스카이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