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공항의 역사
[국내 공항의 역사] 동북아 허브 인천공항으로 발전하기까지
우리나라는 지금 인천국제공항을 비롯해 상당수의 공항이 운영되고 있는데, 국내 최초의 공항은 어디인지 궁금합니다.
국내에 비행기가 처음으로 등장한 것은 라이트 형제가 첫 비행에 성공한 10년 뒤인 1913년이었다고 합니다. 일본 해군 중위 나라하라가 현재 삼각지에 있던 용산 연병장에서 떴다 내린 것이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진 첫 비행이라는데, 이를 보면 용산의 일본군 연병장이 우리나라 최초의 비행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다 1916년 가을, 당시 경기도 시흥군에 속해 있던 여의도에 일본 육군 간이비행 착륙장이 개설됐고, 여기서 1922년 12월 우리나라 최초의 비행사인 안창남이 모국 방문 기념비행을 해 한국인의 기개를 떨치게 되지요. 이 여의도 비행장은 1924년 정식비행장으로 승격돼 민간항공기와 군항공기가 공동으로 이용하게 됐고 광복 후 1948년부터는 민간비행장으로 운영되기 시작했습니다.
1913년 용산비행장서 첫 비행
이에 따라 국내 최초의 민간항공사인 대한국민항공사(KNA)도 여의도 비행장에서 첫 취항을 시작했습니다. 그러다 1958년 1월, 공항의 기능을 김포로 이전하면서 여의도는 군 전용 비행장으로 사용되다 1971년에 폐쇄됐지요.
현재 국내선이 주로 운항하고 있는 김포공항은 1939년 당시 경기도 김포군 양서면 방화리에 일본군이 길이 1천317미터 폭 16미터 규모의 활주로 3개를 건설하면서 역사가 시작됐습니다. 일본군이 태평양전쟁을 발발하기 직전, 이곳에 비행장을 만들고 가미가제 특공대 훈련장으로 활용했던 것이지요.
해방 후 김포공항의 관할권은 미군으로 넘어갔는데, 미 공군은 활주로를 포장하고 전쟁 중이던 1951년에 길이 2천268미터 폭 45미터 규모의 활주로를 새로 건설해서 전용하다 그 이듬해부터 민간항공기 운항을 허용했고 1954년부터는 우리나라도 활주로 일부를 사용할 수 있게 됐습니다. 그 후 1958년 1월 미군측과 김포공항의 관리권을 단계적으로 대한민국 정부에 이양한다는 협정을 체결하고 같은 해 3월 대통령령으로 김포공항을 국제공항으로 지정하게 됩니다.
김포공항은 1973년 4월에 예전 국내선 청사(현재 이마트)로 사용하던 건물이 준공돼 하늘에서 내려다 봤을 때 그나마 공항의 면모를 갖추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현재 국내선 청사인 국제선 청사를 1980년 8월에, 현재 하네다와 홍차오 노선이 운항하는 당시 국제선 2청사를 1988년에 대한항공이 기부 채납하는 방법으로 준공하게 됐지요.
무안국제공항 가장 최근 개장
제주공항도 일제시대 일본군에 의해 비행장이 처음 조성됐고 1968년 국제공항으로 승격, 같은 해에 활주로를 연장하고 청사를 신축해서 제대로 된 공항의 모습을 갖추었고, 부산공항의 경우는 1958년 수영비행장으로 시작, 1963년 국제공항으로 승격하고 1976년 8월에 현재의 강서구 대저동으로 이전, 확장공사를 거쳐 김해국제공항 시대를 열게 됩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대표 관문공항인 인천국제공항은 세계 유수의 공항과 비교해도 손색 없는 규모와 시설로 2001년 3월 29일 개항, 동북아시아 허브를 지향하며 제 역할을 다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중부권 거점이자 유사 시 수도권 대체공항으로 1997년 개항한 청주국제공항, 2002년에 개항한 영동권의 양양국제공항, 가장 최근인 2007년 11월에 개항한 전남 무안국제공항까지 항공여행 대중화와 글로벌 시대를 맞아 우리나라 공항도 많은 발전을 이루었지요.
[출처] 대한항공 스카이뉴스
그러다 1916년 가을, 당시 경기도 시흥군에 속해 있던 여의도에 일본 육군 간이비행 착륙장이 개설됐고, 여기서 1922년 12월 우리나라 최초의 비행사인 안창남이 모국 방문 기념비행을 해 한국인의 기개를 떨치게 되지요. 이 여의도 비행장은 1924년 정식비행장으로 승격돼 민간항공기와 군항공기가 공동으로 이용하게 됐고 광복 후 1948년부터는 민간비행장으로 운영되기 시작했습니다.
1913년 용산비행장서 첫 비행
이에 따라 국내 최초의 민간항공사인 대한국민항공사(KNA)도 여의도 비행장에서 첫 취항을 시작했습니다. 그러다 1958년 1월, 공항의 기능을 김포로 이전하면서 여의도는 군 전용 비행장으로 사용되다 1971년에 폐쇄됐지요.
현재 국내선이 주로 운항하고 있는 김포공항은 1939년 당시 경기도 김포군 양서면 방화리에 일본군이 길이 1천317미터 폭 16미터 규모의 활주로 3개를 건설하면서 역사가 시작됐습니다. 일본군이 태평양전쟁을 발발하기 직전, 이곳에 비행장을 만들고 가미가제 특공대 훈련장으로 활용했던 것이지요.
해방 후 김포공항의 관할권은 미군으로 넘어갔는데, 미 공군은 활주로를 포장하고 전쟁 중이던 1951년에 길이 2천268미터 폭 45미터 규모의 활주로를 새로 건설해서 전용하다 그 이듬해부터 민간항공기 운항을 허용했고 1954년부터는 우리나라도 활주로 일부를 사용할 수 있게 됐습니다. 그 후 1958년 1월 미군측과 김포공항의 관리권을 단계적으로 대한민국 정부에 이양한다는 협정을 체결하고 같은 해 3월 대통령령으로 김포공항을 국제공항으로 지정하게 됩니다.
김포공항은 1973년 4월에 예전 국내선 청사(현재 이마트)로 사용하던 건물이 준공돼 하늘에서 내려다 봤을 때 그나마 공항의 면모를 갖추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현재 국내선 청사인 국제선 청사를 1980년 8월에, 현재 하네다와 홍차오 노선이 운항하는 당시 국제선 2청사를 1988년에 대한항공이 기부 채납하는 방법으로 준공하게 됐지요.
무안국제공항 가장 최근 개장
제주공항도 일제시대 일본군에 의해 비행장이 처음 조성됐고 1968년 국제공항으로 승격, 같은 해에 활주로를 연장하고 청사를 신축해서 제대로 된 공항의 모습을 갖추었고, 부산공항의 경우는 1958년 수영비행장으로 시작, 1963년 국제공항으로 승격하고 1976년 8월에 현재의 강서구 대저동으로 이전, 확장공사를 거쳐 김해국제공항 시대를 열게 됩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대표 관문공항인 인천국제공항은 세계 유수의 공항과 비교해도 손색 없는 규모와 시설로 2001년 3월 29일 개항, 동북아시아 허브를 지향하며 제 역할을 다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중부권 거점이자 유사 시 수도권 대체공항으로 1997년 개항한 청주국제공항, 2002년에 개항한 영동권의 양양국제공항, 가장 최근인 2007년 11월에 개항한 전남 무안국제공항까지 항공여행 대중화와 글로벌 시대를 맞아 우리나라 공항도 많은 발전을 이루었지요.
[출처] 대한항공 스카이뉴스
'Flight Info > Air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행기 엔진 (0) | 2010.02.02 |
---|---|
도시 공항 항공사 코드 (0) | 2010.02.01 |
기내 화장실 (0) | 2010.01.31 |
비행기 승무원의 역사 (0) | 2010.01.31 |
항공협정 (0) | 2010.01.30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비행기 엔진
비행기 엔진
2010.02.02 -
도시 공항 항공사 코드
도시 공항 항공사 코드
2010.02.01 -
기내 화장실
기내 화장실
2010.01.31 -
비행기 승무원의 역사
비행기 승무원의 역사
2010.01.31